2025년 3월 26일 수요일

5.3.1. 보고서/공고문 작성



1. 프롬프트

1) 프롬프트 예시 1 - 잘된 보고서 양식 제공하기


첫번째 입력 : ChatGPT에게 개요 소개
2025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진출 전략 이라는 주제의 정책 보고서를 작성해
두번째 입력 : 잘된 보고서 양식을 가져와서 이 양식대로 작성 요청
너는 정책 보고서 전문가입니다. 
2025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진출 전략을 주제로 정책 보고서를 작성해 주고, 아래 보고서 순서를 보고 초안을 작성해줘.
Ⅰ. 추진개요 Ⅱ. 국내‧외 환경변화 Ⅲ. 동향 및 주요 통계 Ⅳ. 2025년 주요 추진 방향 Ⅴ. 2025년 중점 추진 과제 1. 2. 3.

2) 프롬프트 예시 2 - 내용을 더 길게 작성하도록 요청할 때


프롬프트 예시 1
 응답 내용이 길어질 경우 다음 대화에서 계속 이어나가 줘.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작성해.

프롬프트 예시 2
위 내용을 좀 더 상세히 작성해 줘.

3) 프롬프트 예시 3 - 기존 양식에서 동일한 형식의 문서 형식을 요청할 때


프롬프트 예시 1
위와 같은 형식을 다른 내용으로 채우려고 할때 어떻게 작성해야 되는지 텍스트 프롬프트를 알려줘.

프롬프트 예시 2 : 실제 문서에서 적용

 Ⅱ. 국내‧외 환경변화


 1. [기술] 다양한 新SW가 빠르게 확산되어 SW 생태계가 급변


□ AI,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新SW가 지속 등장

 ㅇ 新SW는 사업화 및 보급 확산의 속도가 타 분야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빠르고 범용 기술로서 높은 파급력 발휘

    * 생성형 AI의 핵심기술인 'Transformer'는 2017년 발표되어 5년 만에 ChatGPT 서비스로 사업화되었고, 서비스 제공 두 달 만에 사용자 수 2억 명 돌파
[ 신기술의 사업화 및 확산 속도 ]

기술
발표
확산
확산 속도
근거
형광 조명
1859
1933
74년
◦특허 → 상용 형광등 출시
프레온 냉매
1931
1969
38년
◦특허 → 전기냉장고 가정 내 보급 보편화
제트 엔진
1791
1961
170년
◦특허 → 대형 민간 항공기에 적용
新SW
블록체인
2008
2016
8년
◦논문  → 금융서비스 중 블록체인 적용률 13.5%
생성AI
2017
2023
6년
◦Transformer발표 → ChatGPT 이용자 2억 명


□ 로우코드/노코드 플랫폼 및 생성형 AI를 코딩 도구로 활용하여 SW 개발의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

    * SW 기업의 55%는 생성형 AI를 개발과정에 활용하고 있으며, 약 63%의 기업은 개발자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하기 위한 교육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Gartner, '23.8.3.)
    * NTT Data(日)은 코딩 업무에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약 20%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거뒀다고 발표(Gartner, '23.8.21.)

 ㅇ 각 산업 도메인 전문가의 SW개발 참여가 본격화되면서 SW개발자 저변 확산에도 기여

    * 로우코드/노코드 이용자 수는 2021년 260만 명에서 2025년까지 연간 40% 증가하고 관련 시장 규모는 2022년 115억 달러에서 2027년 257억 달러까지 성장(IDC)
    * 금융(골드만삭스, 美), 화학(BASF, 獨), 통신(Telstra, 濠) 등 다양한 산업에서 全社차원의 로우코드/노코드 교육 및 실무 활용 유도(The Economist)

--> 위와 같은 형식을 다른 내용으로 채우려고 할때 어떻게 작성해야 되는지 텍스트 프롬프트를 알려줘.

프롬프트 예시 3 : ChatGPT에서 작성해 준 프롬프트
Ⅱ. 국내‧외 환경변화

1. [주제] 핵심 키워드로 간단하게 제목 작성

□ 핵심 트렌드 또는 현황 서술

 ㅇ 세부 내용 1: 구체적 사례나 수치, 인용 포함

    * 보충 설명 또는 근거 자료 제시 (출처 명시 시 신뢰도↑)

[ 시각적 자료 또는 표 제목 ]
  
[표 형식: 주제에 맞게 수정]

항목명1 | 항목명2 | 항목명3 | 항목명4 | 근거
------|-------|-------|------|-----
내용1 | 내용2 | 내용3 | 내용4 | 출처/근거

□ 추가 트렌드나 변화 설명

 ㅇ 세부 내용 2: 기술, 제도, 사회적 변화 등

    * 기업/기관 사례, 통계치 등 인용 가능

 ㅇ 그에 따른 영향이나 시사점 제시

    * 수치 기반 전망, 산업적 파급력 등 포함

프롬프트 예시 4 : 프롬프트 적용 예시
Ⅱ. 국내‧외 환경변화

1. [주제] 핵심 키워드로 간단하게 제목 작성

□ 핵심 트렌드 또는 현황 서술

 ㅇ 세부 내용 1: 구체적 사례나 수치, 인용 포함

    * 보충 설명 또는 근거 자료 제시 (출처 명시 시 신뢰도↑)

[ 시각적 자료 또는 표 제목 ]
  
[표 형식: 주제에 맞게 수정]

항목명1 | 항목명2 | 항목명3 | 항목명4 | 근거
------|-------|-------|------|-----
내용1 | 내용2 | 내용3 | 내용4 | 출처/근거

□ 추가 트렌드나 변화 설명

 ㅇ 세부 내용 2: 기술, 제도, 사회적 변화 등

    * 기업/기관 사례, 통계치 등 인용 가능

 ㅇ 그에 따른 영향이나 시사점 제시

    * 수치 기반 전망, 산업적 파급력 등 포함
--> 2025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진출 전략이라는 주제로 위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해줘.

2025년 3월 24일 월요일

5.4.4. 영수증 정리 프롬프트




1. 프롬프트

입력 프롬프트 예시
## 역할
당신은 영수증 데이터 분석 전문가로서 이미지에서 주요 거래 정보를 추출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 목표
사용자가 제공한 영수증 이미지에서 핵심 정보를 정확히 추출하여 구조화된 데이터로 변환합니다.

## 작업 절차
1. 이미지 접수 및 분석
   - 압축 파일이 업로드된 경우 자동으로 압축 해제
   - 개별 이미지 파일 확인 및 순차적 처리
   - 각 이미지마다 단계별 정보 추출 진행

2. 정보 추출 과정
   - 이미지에서 텍스트 데이터 인식 (이미지 OCR 기능 활용)
   - 추출된 텍스트에서 핵심 정보 파악
   - 정보 추출이 어려운 경우 사용자에게 안내 메시지 제공

3. 데이터 정리 및 제공
   - 모든 추출 정보를 표 형식으로 정리
   - 데이터 취합 및 엑셀 파일 생성
   - 결과 미리보기 및 다운로드 옵션 제공

## 추출 정보 항목
1. 가맹점명(상호명)
2. 거래 일시 (YYYY-MM-DD 형식)
3. 총 금액 (숫자만)
4. 부가세 (숫자만)
5. 공급가액 (숫자만)

## 정보 추출 기준
### 가맹점명 판별 기준
- 법인명 표시: "(주)" 포함 텍스트
- 명시적 표기: "매장명:", "상호명:", "가맹점:" 등의 레이블 뒤 텍스트
- 위치 기반: 주소나 대표자명 직전에 위치한 고유명사
- 디자인 특성: 영수증 상단에 강조된 큰 글씨 텍스트

### 금액 정보 처리
- 모든 금액은 숫자만 추출 (원, ₩, , 등 제거)
- 공급가액 = 총 금액 - 부가세 (자동 계산)

## 예외 처리
- 이미지 인식 실패 시: "이 영수증은 제대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다른 이미지를 업로드하시거나, 수동으로 정보를 피드백 해주세요."
- 정보 누락 시: 해당 필드에 "정보 없음" 표시

5.3.2. 회의록 작성 프롬프트




1. 프롬프트

입력 프롬프트 예시
# 역할

당신은 전문적인 회의 기록 관리자입니다.

# 목표

제공된 회의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체계적이고 명료한 회의록을 작성합니다.

# 절차

1. 대화 내용에서 핵심 주제와 논의 사항을 파악합니다.
2. 의사결정 사항과 그 근거를 명확히 정리합니다.
3. 향후 조치사항과 담당자, 일정을 구조화합니다.
4. 아래 템플릿에 맞춰 최종 회의록을 작성합니다.

# 회의록 구성

1. 회의 기본 정보 (일시, 장소, 참석자, 안건)
2. 주제별 논의 내용 요약
3. 합의된 결정사항
4. 후속 조치 계획 (담당자별 정리)

# 회의록 템플릿

## 1. 회의 정보

- 일시: YYYY.MM.DD (요일) HH:MM~HH:MM (총 시간)
- 장소:
- 참석자: (총 N명)
- 소속1: 이름, 직함 (N명)
- 소속2: 이름, 직함 (N명)
- 회의 안건:

## 2. 논의 사항

### 주제 1

- 핵심 내용:
- 주요 의견:
- 논의 결과:

### 주제 2

- 핵심 내용:
- 주요 의견:
- 논의 결과:

## 3. 의사결정 사항

1. 결정 1: (결정 내용)

- 배경/근거:

1. 결정 2: (결정 내용)

- 배경/근거:

## 4. 후속 조치 계획

### 담당자A

- 과제 1: (완료 기한)
- 세부 내용:
- 과제 2: (완료 기한)
- 세부 내용:

### 담당자B

- 과제: (완료 기한)
- 세부 내용:

# 추가 지침

- 객관적 사실만 기록하고 개인적 해석은 배제합니다.
- 모호한 책임 사항이 있다면 '미정'으로 표시합니다.
- 회의 진행 과정에서 특별히 강조된 사항은 굵은 글씨로 표시합니다.
- 완성된 회의록을 어떤 형식(워드, PDF 등)으로 저장하고 싶으신지 확인하겠습니다.

2025년 3월 22일 토요일

5.6.1. 파이썬 프로그래밍 프롬프트




1. 프롬프트

프롬프트 예시 1
파이썬 파일이 있는 폴더내에 여러 파일이 있어. 파일명 앞에 번호를 붙여주는 코드를 작성해줘. 번호는 00_ ~~~, 01_ ~~~ 이와 같은식으로 0X_ 가 앞에 붙으면 돼. 파이썬 파일 작성
프롬프트 예시 2
Context(상황):  
- 특정 폴더 내에 여러 개의 파일이 존재합니다.  
- 파일명 앞에 00_, 01_, 02_와 같은 번호를 추가하여 순차적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 폴더 내에 파이썬 파일(.py)도 존재하며, 해당 파일은 변경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Instructions(단계별 지시사항):  
1. 실행된 파이썬이 있는 폴더 내의 파일 목록을 자동으로 가져옵니다.   
2. 파일명을 정렬하여 순서대로 번호를 붙입니다.  
3. 0X_ 형식으로 번호를 추가하여 파일명을 변경합니다.  
4. 기존 확장자는 유지하며, 파일명 앞에 번호만 추가합니다.  
5. 변경된 파일명을 사용자에게 출력해 줍니다. 
작성된 파이썬 소스 코드
# 폴더 내의 파일 목록 가져오기
files = [f for f in os.listdir(current_folder) if os.path.isfile(os.path.join(current_folder, f))]

# .py 파일 제외
files = [f for f in files if not f.endswith(".py")]

# 파일명 정렬
files.sort()

# 파일명 변경
renamed_files = []
for index, file in enumerate(files):
    # 기존 확장자 유지
    file_extension = os.path.splitext(file)[1]
    new_filename = f"{index:02d}_{file}"
    old_path = os.path.join(current_folder, file)
    new_path = os.path.join(current_folder, new_filename)

    # 파일명 변경
    os.rename(old_path, new_path)
    renamed_files.append(new_filename)

# 변경된 파일명 출력
print("Renamed Files:")
for file in renamed_files:
    print(file)

2. 유튜브 동영상




3. 교재 안내

📝 본 교재는 오프라인 강의용 교재입니다.


🎬 교재 관련 유튜브 채널

본 교재의 내용은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ai오토마타

에서 영상 강의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책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들을 실제 사례로

제시할 예정입니다.

구독과 알림 설정을 통해 최신 AI 적용 사례와 실용 팁을 놓치지 마세요!


💳 구매 안내

현재 이 책은 부크크 사이트(https://bookk.co.kr/)와 

예스24교보문고알라딘 등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 빠른 구매 팁

부크크 사이트나 교보문고에서 직접 구매하여야 빨리 배송됩니다.

가급적 부크크 사이트를 이용해 주세요~!

2025년 3월 11일 화요일

실습 12. PPT 자동화

입력 데이터: 사용자가 제공한 텍스트 파일 또는 업로드 파일


주어진 텍스트 파일의 내용만을 바탕으로, PPT용 개조식 요약을 마크다운(Markdown) 형식으로 작성하시오.

외부 정보는 절대 포함하지 않는다.


[요구 사항]

1. 출력 형식

마크다운(Markdown) 문법을 사용하여 개조식 정리

한 페이지당 8줄을 초과하지 않도록 내용을 나눈다.

내용이 길 경우, 논리적으로 적절한 위치에서 다음 페이지로 분리

각 페이지의 제목을 ##(H2) 태그로 작성

개조식은 - 또는 *을 사용하여 정리

숫자, 소제목 등을 유지하여 PPT 자료로 적절하게 변환

[마크다운 개조식 사용법]

마크다운에서 개조식(Bullet Point) 리스트를 작성할 때, 다음과 같은 형식을 사용해야 한다.


- 첫 번째 항목

- 두 번째 항목

  - 하위 항목 1

  - 하위 항목 2

또는 *을 사용할 수도 있다.


* 첫 번째 항목

* 두 번째 항목

  * 하위 항목 1

  * 하위 항목 2

두 가지(-, *) 중 한 가지 방식만 일관되게 사용할 것

하위 항목은 두 칸 들여쓰기 후 - 또는 * 추가

각 페이지의 제목은 ##(H2) 태그를 사용하여 작성


[출력 예시: 1~5페이지 요약]


## 1페이지: 표지  

- **제목:** (2025년 최신) ChatGPT 활용 사례  

- **발행일:** 2025년 03월 01일  

- **저자:** 이은상  

- **펴낸이:** 한건희  

- **출판사:** 주식회사 부크크  

- **출판사 등록:** 2014.07.15 (제2014-16호)  

- **ISBN:** 979-11-419-9354-2  

- **출판사 웹사이트:** www.bookk.co.kr  

- **저작권:** ⓒ 이은상 2025  


## 2페이지: ChatGPT란? (1)  

- Open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AI) 모델  

- **자연어 처리(NLP) 기술 활용**  

  - 인간과 유사한 방식으로 대화 수행  

  - 문맥을 분석하여 자연스러운 문장 생성  

-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기반**  

  - 대규모 데이터 학습을 통해 응답 생성  

  - 특정 분야에 맞게 추가 학습 가능  


## 3페이지: ChatGPT란? (2)  

- **ChatGPT의 주요 기능**  

  - 질문 답변, 문서 요약, 코드 생성  

  - 번역 및 맞춤형 콘텐츠 제작  

- **활용 분야**  

  - 업무 자동화(보고서, 이메일 작성)  

  - 학습 및 연구(논문 작성, 정보 검색)  

  - 개인 생활(일정 관리, 여행 계획)  

- **한계점**  

  - 최신 정보 반영 어려움  

  - 사실 검증 어려움 (환각 현상 가능성)  


## 4페이지: ChatGPT의 개념 및 원리 (1)  

- **GPT 모델의 핵심 개념**  

  - **Generative(생성):** 텍스트를 창의적으로 생성  

  - **Pre-trained(사전 학습):** 대규모 데이터 학습 후 조정 가능  

  - **Transformer(변환기):** 문맥을 이해하고 문장 연결  

- **ChatGPT의 작동 원리**  

  -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응답 생성  

  - 문맥을 분석하고 다음 단어를 확률적으로 예측  


## 5페이지: ChatGPT의 개념 및 원리 (2)  

- **자연어 처리(NLP) 기능**  

  - **자연어 이해:** 입력된 문장을 분석하여 의미 추론  

  - **자연어 생성:** 문맥을 고려한 응답 제공  

- **확률적 언어 모델 기반 응답**  

  - 높은 확률의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 완성  

  - 동일한 질문이라도 응답이 달라질 수 있음  


[출력 방식]

위와 같은 마크다운(Markdown) 형식으로 개조식 요약을 생성

한 번에 전체 요약을 제공하지 않음

특정 페이지 수정 요청 시, 해당 부분만 업데이트 가능



2025년 3월 10일 월요일

실습 10.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실습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실습 

실습 개요

이 실습에서는 ChatGPT를 활용하여 행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데이터 해석부터 시각적 표현까지 전체 프로세스를 실습하여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역량을 향상시킵니다.

상세 실습 단계

1단계: 분석 데이터 준비 및 검토 (20분)

분석할 데이터를 준비하고 기본 특성을 파악합니다:

데이터 준비 가이드라인:

  • 분석 가치가 있는 행정 데이터 선정(민원 통계, 예산 집행 현황, 사업 실적 등)
  • 개인식별정보 완전 제거(이름, 주민번호, 연락처 등)
  • CSV 형식으로 변환(Excel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 → CSV UTF-8 선택)
  • 데이터 크기 최적화(2MB 이내 권장, 필요시 샘플링)
  • 열 이름 영문 또는 공백 없는 한글로 통일

데이터 기본 검토:

  • 데이터의 출처와 수집 방법
  • 데이터 기간 및 범위
  • 주요 변수(열) 목록과 의미
  • 특이사항 및 한계점

2단계: ChatGPT에 데이터 파일 업로드 및 기본 분석 (30분)

ChatGPT Plus에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기본 분석을 요청합니다:

데이터 업로드 방법:

  1. ChatGPT Plus 접속
  2. 새 대화 시작
  3. 하단 "+ 버튼" 클릭 후 파일 업로드 선택
  4. 준비한 CSV 파일 선택


기본 분석 프롬프트:

당신은 공공행정 데이터 분석 전문가이며,
정부 부처 데이터를 명확하게 해석하고 유용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역량이 뛰어납니다. [작업] 첨부한 CSV 파일에 대한 기본 분석을 수행해주세요. [분석 요청사항] 1. 데이터 구조 설명 - 행과 열 수, 주요 변수 목록 - 각 변수의 데이터 유형 및 의미 추론 - 누락된 데이터 확인 2. 기술통계 분석 - 주요 수치형 변수의 기술통계(평균, 중앙값, 최댓값, 최솟값 등) - 주요 범주형 변수의 빈도 분석 - 이상치 또는 특이사항 식별 3. 초기 인사이트 - 눈에 띄는 패턴이나 추세 - 추가 분석이 필요한 부분 - 데이터 품질 이슈 및 제한사항 행정 실무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어와 표현을 사용하여 분석 결과를 설명해주세요.

3단계: 심층 분석 및 상관관계 탐색 (30분)

기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더 깊은 분석과 상관관계 탐색을 요청합니다:

[작업] 앞서 분석한 데이터에 대해 더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해주세요. [심층 분석 요청사항] 1.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 수치형 변수 간 상관계수 및 의미 해석 - 범주형 변수와 수치형 변수 간 관계성 분석 - 시간에 따른 추세 변화(시계열 데이터인 경우) 2. 핵심 질문에 대한 답변 - [업무 관련 질문 1: 예시 - 지역별 민원 유형 분포는 어떻게 되나요?] - [업무 관련 질문 2: 예시 - 예산 집행률과 사업 성과 간 관계가 있나요?] - [업무 관련 질문 3: 예시 - 어떤 요인이 서비스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나요?] 3. 세그먼트 분석(해당되는 경우) - 지역별/부서별/사업별 비교 분석 - 상위/하위 그룹 특성 분석 - 이상치 및 특이 케이스 심층 분석 분석 결과는 실제 행정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관점에서 설명해주세요.

4단계: 데이터 시각화 요청 (30분)

분석 결과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시각화 자료를 요청합니다:

[작업] 앞서 분석한this내용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데이터 시각화 방안을 제안해주세요. [시각화 요청사항] 1. 핵심 지표 대시보드 - 주요 성과지표(KPI)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대시보드 레이아웃 - 적합한 차트 유형 제안(막대, 선, 원형, 산점도 등) - 직관적 이해를 위한 색상 및 디자인 가이드 2. 상세 분석 차트 - [분석 주제 1: 예시 - 지역별 민원 현황] 시각화 방안 - [분석 주제 2: 예시 - 예산 집행 추이] 시각화 방안 - [분석 주제 3: 예시 - 사업 성과 비교] 시각화 방안 3. 인포그래픽 아이디어 - 비전문가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구성안 - 핵심 메시지를 강조하는 방안 - 스토리텔링 요소 제안 각 시각화 제안에는 차트 유형, 포함할 데이터, 레이아웃,
강조점, 색상 체계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포함해주세요.

5단계: Excel/Google Sheets 차트 생성 코드 요청 (30분)

실제 업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Excel이나 Google Sheets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차트 생성 방법을 요청합니다:

[작업] 앞서 제안한 데이터 시각화를 Excel/Google Sheets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주세요. [구현 요청사항] 1. [차트 유형 1: 예시 - 지역별 민원 현황 막대 차트] - 데이터 준비 및 정렬 방법 - 차트 생성 단계 - 서식 및 디자인 설정 방법 - 추가 기능(데이터 레이블, 축 설정 등) 적용 방법 2. [차트 유형 2: 예시 - 월별 예산 집행 추이 선 그래프] - 시계열 데이터 구성 방법 - 차트 생성 및 설정 단계 - 추세선 추가 방법 - 가독성 향상을 위한 팁 3. [차트 유형 3: 예시 - 사업별 성과 비교 방사형/원형 차트] - 데이터 구조화 방법 - 차트 생성 단계 - 시각적 강조 설정 방법 - 최종 정리 및 프레젠테이션 팁 스크린샷이나 상세 메뉴 경로를 포함한 단계별 가이드를 제공해주세요.
실무자가 직접 따라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6단계: ChatGPT 코드 인터프리터를 활용한 고급 시각화 (40분)

ChatGPT의 코드 인터프리터 기능을 활용하여 더 고급화된 시각화를 생성합니다:

[작업] 코드 인터프리터를 활용하여 업로드한 데이터에
대한 고급 시각화를 생성해주세요. [시각화 요청사항] 1. 인터랙티브 대시보드 스타일 차트 - 주요 지표들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다중 패널 차트 - 색상 구분과 크기 변화를 활용한 다차원 정보 표현 - 명확한 레이블과 범례 포함 2. 고급 분석 시각화 - 상관관계 히트맵 - 시계열 분해 분석(추세, 계절성, 잔차) - 지역 데이터의 경우 간단한 지도 시각화 3. 프레젠테이션용 최종 시각화 - 핵심 인사이트를 강조한 차트 3-5개 - 일관된 테마와 색상 체계 적용 - 타이틀과 설명을 포함한 완성된 형태 Python 코드와 함께 시각화 결과물을 제공해주세요.
또한 생성된 차트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7단계: 인사이트 종합 및 정책 제언 도출 (30분)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인사이트와 정책 제언을 요청합니다:

[작업] 지금까지의 데이터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행정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와 제언을 도출해주세요. [요청사항] 1. 핵심 발견사항 요약 - 데이터 분석에서 발견한 3-5가지 핵심 인사이트 - 의외의 결과나 기존 가설을 확인/반박하는 발견점 - 데이터로 확인된 주요 문제점 또는 기회 요소 2. 정책 및 실행 제언 - 도출된 인사이트에 기반한 구체적 정책 방향 - 단기(3개월 내), 중기(6개월-1년), 장기(1년 이상) 실행 제안 - 예상되는 도전과제와 극복 방안 3. 후속 분석 제안 - 더 깊은 분석이 필요한 영역 - 추가 수집이 필요한 데이터 - 다른 데이터셋과의 통합 분석 가능성 제언은 데이터 분석 결과에 직접 기반하여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내용으로 작성해주세요. 정책 결정자가 바로 검토하고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제안을 부탁드립니다.

8단계: 최종 보고서 및 프레젠테이션 자료 작성 (30분)

분석 결과를 종합한 최종 보고서와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요청합니다:

[작업] 지금까지의 데이터 분석 내용을 종합한 최종 보고서와
프레젠테이션 자료 구성을 제안해주세요. [요청사항] 1. 데이터 분석 보고서 목차 및 주요 내용 - 배경 및 목적 - 분석 방법론 - 주요 분석 결과 (시각화 포함) - 도출된 인사이트 - 정책 제언 - 부록 (상세 분석 데이터) 2. 프레젠테이션 구성안 - 5-10페이지 분량의 프레젠테이션 흐름 - 슬라이드별 핵심 메시지 - 포함할 차트 및 시각화 요소 - 효과적인 발표를 위한 핵심 포인트 3. 분석 결과 공유 전략 - 다양한 이해관계자별 맞춤형 메시지 - 핵심 인사이트 커뮤니케이션 방안 - 청중의 예상 질문 및 답변 준비 행정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보고서와 프레젠테이션 구성안을 제안해주세요.

9단계: 데이터 분석 워크플로우 개발 및 정리 (20분)

ChatGPT를 활용한 행정 데이터 분석 워크플로우를 개발하고 정리합니다:

[작업] 공공기관 행정담당자가 ChatGPT를 활용해 일상적인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최적의 워크플로우를 제안해주세요. [고려사항] - 데이터 분석 전문가가 아닌 일반 행정직 공무원의 역량 - 공공기관의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요건 - 제한된 IT 인프라 환경 -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활용 필요성 - 행정 보고서 및 정책 자료 작성 요건 [요청사항] 1. 단계별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제안 2. 분석 목적별 ChatGPT 프롬프트 템플릿 3. 데이터 준비 및 전처리 가이드라인 4. 분석 결과 검증 및 품질 관리 방안 5. 결과 활용 및 지식 관리 체계 행정 업무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워크플로우를 제안해주세요.

10단계: 실습 결과 평가 및 추후 활용 계획 수립 (20분)

실습 결과를 평가하고 실제 업무 적용 계획을 수립합니다:

  1. 실습 결과 평가: 다음 기준으로 데이터 분석 결과를 평가합니다:
    • 분석의 깊이: 단순 기술통계를 넘어선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했는가?
    • 시각화 품질: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이해하기 쉬운가?
    • 실용성: 실제 업무 의사결정에 활용 가능한 수준인가?
    • 효율성: 기존 방식 대비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가?
    • 정확성: 분석 결과가 데이터를 정확히 반영하는가?
  2. 업무 적용 계획:
    • 단기(1개월 내): 정기 보고 자료에 ChatGPT 분석 결과 활용
    • 중기(3개월 내): 부서 내 주요 데이터셋에 대한 분석 템플릿 개발
    • 장기(6개월 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문화 확산 및 역량 강화
  3. 지속적 개선 방안:
    • 분석 프롬프트 라이브러리 구축 및 업데이트
    • 분석 결과 검증 및 피드백 체계 구축
    • 팀 내 데이터 분석 지식 공유 세션 운영

실습 확장 아이디어

  • 부서별 핵심 지표 대시보드 개발 프로젝트
  • 다양한 데이터셋 통합 분석 워크숍
  • 정기 보고서 자동화 시스템 구축
  • 데이터 스토리텔링 역량 강화 교육
  • 타 기관 우수 데이터 활용 사례 벤치마킹

이 실습을 통해 참가자들은 ChatGPT를 활용하여 행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실무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실습 9. 공문서 양식 자동화 실습 2

 공문서 양식 자동화 실습 

실습 개요

이 실습에서는 ChatGPT를 활용하여 공공기관에서 자주 사용하는 공문서 양식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맞춤형 템플릿을 개발하고, 상황에 따라 내용만 변경하여 효율적으로 공문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실습합니다.

상세 실습 단계

1단계: 공문서 양식 분석 및 선택 (20분)

부서에서 자주 사용하는 공문서 양식 3가지를 선택하고 분석합니다:

일반적인 공문서 유형 예시:

  1. 협조 요청 공문
  2. 회의 개최 안내 공문
  3. 자료 제출 요청 공문
  4. 행사 개최 안내 공문
  5. 결과 보고 공문
  6. 기관 간 업무 협약 공문
  7. 사업 시행 안내 공문

공문서 구성요소 분석: 각 공문서 유형별로 다음 요소를 분석합니다:

  • 문서 제목(제목 작성 패턴)
  • 수신자 지정 방식
  • 필수 포함 내용
  • 관련 근거 제시 방법
  • 본문 구성 패턴
  • 첨부 자료 표기 방법
  • 기타 특이사항

2단계: 공문서 자동화를 위한 기초 프롬프트 개발 (30분)

ChatGPT를 활용한 공문서 자동화 기초 프롬프트를 개발합니다:

당신은 15년 경력의 행정 문서 작성 전문가입니다.
공공기관의 공문서를 정확하고 전문적으로 작성하는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작업] 다음 공문서 유형을 위한 맞춤형 템플릿을 작성해주세요: "[공문서 유형: 예시 - 협조 요청 공문]" [문서 기본 정보] - 발신기관: [예: OO시 OO구청 OO과] - 수신대상: [예: 수신자 참조] - 공문서 분류번호 형식: [예: OO과-123] - 관련 규정/지침: [예: OO법 제O조, OO지침] [필수 포함 요소] 1. 공문서 제목 (명확하고 간결하게) 2. 관련 근거 (법령, 지침, 선행 공문 등) 3. 주요 내용 (목적, 배경, 세부 사항) 4. 협조/조치 요청 사항 5. 기한 명시 6. 첨부 문서 목록 7. 문의 담당자 정보 [형식 지침] - 공식적이고 격식 있는 문체 사용 -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으로 작성 - 행정 용어와 표현 정확히 사용 - 단락 구분을 통한 가독성 확보 - 글머리 기호 활용하여 중요 사항 강조 [추가 요청사항] - 실제 공문서 작성 시 참고할 수 있는 작성 팁 추가 - 내용 작성 시 주의사항 및 금지사항 안내 - 다양한 상황에 맞게 수정할 수 있는 가변 항목 표시 위 지침에 따라 실제 행정 업무에 즉시 활용 가능한 공문서 템플릿을 작성해주세요.

3단계: 공문서 유형별 특화 프롬프트 개발 (30분)

기초 프롬프트를 바탕으로 선택한 3가지 공문서 유형별 특화 프롬프트를 개발합니다:

협조 요청 공문 특화 프롬프트

[추가 지침: 협조 요청 공문] - 협조 요청의 목적과 배경을 명확히 제시 - 구체적인 협조 요청 사항 항목별 정리 - 협조 요청 사항별 기한 명시 - 협조 미이행 시 영향/문제점 간략 언급 - 담당자 연락처 및 업무 시간 포함 - 회신 방법 및 경로 안내 - 협조에 대한 감사 표현 포함

회의 개최 안내 공문 특화 프롬프트

[추가 지침: 회의 개최 안내 공문] - 회의명 및 목적 명확히 제시 - 일시, 장소, 참석 대상 정보 글머리 기호로 강조 - 회의 안건 또는 주요 논의 사항 항목화 - 참석자 사전 준비사항 명시 - 참석 확인 방법 및 기한 안내 - 불참 시 대리참석 관련 안내 - 주차, 출입, 보안 등 행정사항 포함 - 첨부 자료 목록 및 설명

자료 제출 요청 공문 특화 프롬프트

[추가 지침: 자료 제출 요청 공문] - 자료 요청 목적 및 법적 근거 명확히 제시 - 요청 자료 항목별 구체적 명시 - 자료 형식 및 제출 방법 상세 안내 - 제출 기한 강조 (굵은 글씨 또는 밑줄) - 자료 작성 시 유의사항 포함 - 기한 내 미제출 시 조치사항 안내 - 추가 질의사항 접수 방법 안내 - 제출 자료의 활용 목적 및 방향 간략 설명

4단계: 공문서 템플릿 생성 및 검토 (40분)

개발한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ChatGPT로 각 공문서 유형별 템플릿을 생성합니다:

  1. 각 공문서 유형별 특화 프롬프트 적용
  2. ChatGPT가 생성한 템플릿 검토
  3. 필요 시 추가 세부 요청으로 템플릿 개선

템플릿 검토 체크리스트:

  • 공문서 필수 요소가 모두 포함되었는가?
  • 공식적인 행정 용어와 표현이 적절히 사용되었는가?
  • 문서 형식과 구조가 표준 지침에 부합하는가?
  • 가변 항목이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는가?
  • 즉시 실무에 적용 가능한 수준인가?

템플릿 개선 요청 예시:

[작업] 앞서 생성한 [공문서 유형] 템플릿의 다음 부분을 개선해주세요: [개선 요청 사항] 1. '관련 근거' 부분에 법령 인용 형식을 더 정확하게 수정해주세요. 2. '협조 요청 사항' 섹션의 문장을 더 명령형으로 간결하게 수정해주세요. 3. 기한 표기 방식을 '2023. 12. 31.(금)까지'와 같은 형식으로 통일해주세요. 4. 가변 항목을 [기관명], [날짜], [담당자] 등과 같이 대괄호로 명확히 표시해주세요. 5. 첨부 자료 표기 방법을 "붙임 1. OOO 1부" 형식으로 수정해주세요. 위 요청사항을 반영하여 템플릿을 개선해주세요.

5단계: 상황별 공문서 내용 자동 생성 실습 (40분)

각 공문서 템플릿을 활용하여 다양한 상황별 내용을 자동 생성하는 실습을 진행합니다:

협조 요청 공문 상황 예시

[작업] 앞서 개발한 협조 요청 공문 템플릿을 활용하여
다음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공문을 작성해주세요: [상황] - 발신: OO시 정보화담당관 - 수신: 시 산하 전 부서 - 목적: 2025년 정보보안 교육 참석자 명단 제출 요청 - 주요내용: * 정보보안 교육 일정: 2025. 4. 15.(월) ~ 4. 19.(금), 매일 14:00~16:00 * 부서별 2명 이상 의무 참석 * 참석자 명단 제출 기한: 2025. 3. 25.(화)까지 * 담당자: 정보화담당관 김OO 주무관(☎ 123-4567) 위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협조 요청 공문을 작성해주세요.

회의 개최 안내 공문 상황 예시

[작업] 앞서 개발한 회의 개최 안내 공문 템플릿을 활용하여
다음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공문을 작성해주세요: [상황] - 발신: OO구 도시계획과 - 수신: 관계기관 담당자 - 회의명: 2025년 도시재생사업 추진계획 수립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회 - 일시/장소: 2025. 2. 10.(월) 14:00, OO구청 3층 대회의실 - 참석대상: 구청 관련 부서장, 도시재생지원센터, 주민협의체 대표 등 - 주요안건: * 2024년 사업 추진실적 및 평가 * 2025년 사업계획 및 예산 논의 * 기관별 협조사항 논의 - 회의자료: 사전 배포 예정(회의 3일 전) - 참석회신 기한: 2025. 2. 5.(수)까지 위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회의 개최 안내 공문을 작성해주세요.

자료 제출 요청 공문 상황 예시

[작업] 앞서 개발한 자료 제출 요청 공문 템플릿을 활용하여
다음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공문을 작성해주세요: [상황] - 발신: OO도 복지정책과 - 수신: 도 산하 시군 복지담당부서 - 목적: 2024년 복지사업 성과평가를 위한 실적자료 제출 요청 - 법적근거: 사회복지사업법 제15조 및 복지사업 평가 지침(복지부, 2024.1.) - 제출자료: * 2024년 복지사업별 예산 집행 현황 * 복지사업 수혜자 현황 및 만족도 조사 결과 * 우수사례 및 개선필요사항 - 제출기한: 2025. 1. 20.(월)까지 - 제출방법: 행정정보시스템 및 하드카피 1부 - 담당자: 복지정책과 이OO 주무관(☎ 234-5678) 위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자료 제출 요청 공문을 작성해주세요.

6단계: 공문서 자동화 고급 기능 실습 (30분)

보다 고급 기능을 활용한 공문서 자동화 방법을 실습합니다:

변수 처리 기능

[작업] 자료 제출 요청 공문 템플릿에 다음과 같은 변수 처리 기능을 추가해주세요: [변수 목록] - {{발신부서}} : 발신 부서명 - {{수신기관}} : 수신 기관명 - {{제출자료명}} : 요청 자료명 - {{제출기한}} : 자료 제출 기한 - {{담당자명}} : 담당자 이름 - {{연락처}} : 담당자 연락처 위 변수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간단히 변수 값만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템플릿을 만들어주세요.

상황별 조건문 처리

[작업] 협조 요청 공문 템플릿에 다음과 같은 조건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도록 개선해주세요: [조건부 내용] 1. 긴급 사안일 경우: - 제목 앞에 [긴급] 표시 추가 - 회신 기한 강조 방법 변경 - 미회신 시 조치사항 문구 추가 2. 정기적인 요청 사항일 경우: - 전년도 협조 결과 언급 문구 추가 - 변경된 요청사항 강조 표시 - 정기 일정 안내 문구 추가 3. 예산 관련 사항일 경우: - 예산 관련 법적 근거 추가 - 예산 집행 기한 강조 - 정산 관련 추가 안내 문구 위 세 가지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템플릿으로 개선해주세요.

후속 공문 자동 생성

[작업] 다음 상황에서 필요한 후속 공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롬프트를 개발해주세요: [상황] 초기 자료 제출 요청 공문을 발송한 후, 기한 내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기관에 대한 독촉 공문을 작성해야 합니다. [요청사항] 1. 독촉 공문 템플릿 작성 2. 원래 공문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 참조하는 방식 제안 3. 독촉 정도에 따른 단계별 문구 강화 방안 포함 4. 미제출 사유 확인 및 제출 계획 회신 요청 문구 추가 위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후속 공문 자동화 프롬프트를 개발해주세요.

7단계: 공문서 자동화 워크플로우 개발 및 정리 (30분)

업무 환경에서 ChatGPT를 활용한 공문서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개발하고 정리합니다:

[작업] 공공기관 행정담당자가 ChatGPT를 활용해 일상적인
공문서 작성을 자동화하는 최적의 워크플로우를 제안해주세요. [고려사항] - 일반 행정직 공무원의 업무 환경과 기술 수준 - 행정정보시스템과의 연계 가능성 - 보안 및 개인정보 관리 방안 - 다양한 공문서 유형 처리 방법 - 결재 및 검토 프로세스와의 연계 [요청사항] 1. 단계별 공문서 자동화 프로세스 제안 2. 공문서 템플릿 라이브러리 구축 및 관리 방안 3. 업무별/상황별 프롬프트 모음집 구성 방법 4. 일상 업무에 즉시 적용 가능한 실행 계획 5. 공문서 품질 유지를 위한 검토 체계 행정 업무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워크플로우를 제안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