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일 수요일

2.2.4. 코끼리는 한 입에 삼킬 수 없다

단계별 질문 (Step-by-Step)
만약 당신이 제미나이에게 "50대 남성을 위한 취미 유튜브 채널을 기획해 줘. 채널 컨셉, 카테고리, 첫 영상 대본, 썸네일 아이디어, 홍보 전략까지 전부 다 짜줘." 와 같이 거대하고 복잡한 요청을 한 번에 던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도 제미나이는 뒤죽박죽이거나 논리적이지 못한, 만족스럽지 않은 결과물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미나이가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한 번에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면 과부하가 걸리거나 이야기의 초점을 잃어버리기 쉽습니다.

'코끼리를 한 입에 삼킬 수 없다'는 속담처럼 말이죠.

프롬프트 심화 전략의 네 번째 핵심은 바로 이 '코끼리'를 잘게 썰어, 한 입 크기로 나누어 먹는 것, 즉 복잡한 과업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질문하는 것입니다.

당신은 이제부터 '프로젝트 매니저'입니다
이 전략을 사용할 때, 당신은 단순한 질문자가 아닌 AI와 함께 일하는 '프로젝트 매니저(PM)'가 됩니다. 훌륭한 PM은 거대한 프로젝트를 작은 단위의 업무로 쪼개고, 각 단계의 결과물을 확인하며 다음 단계를 지시합니다. 이 방식을 제미나이와의 대화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입니다.
왜 단계별 질문이 효과적일까요?
초점 유지
각 단계마다 명확한 목표가 생겨 AI가 헷갈리지 않고 주어진 과업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중간 수정 가능
각 단계의 결과물을 보고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을 즉시 수정하고 방향을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이 끝난 뒤에 거대한 결과물을 통째로 수정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입니다.
논리적 흐름
앞선 단계의 답변이 다음 단계 질문의 자연스러운 배경 정보(컨텍스트)가 되어, 전체 결과물이 훨씬 더 논리적이고 일관성 있게 만들어집니다.
실전 예시: 유튜브 채널 기획 프로젝트
'50대 남성을 위한 취미 유튜브 채널 기획'이라는 거대한 '코끼리'를 단계별로 함께 먹어보겠습니다.
1단계: 가장 큰 그림 그리기 (채널 컨셉)
나: "50대 남성을 위한 취미 유튜브 '50에 발견'을 기획 중이야. 다른 채널과 차별화할 수 있는 핵심 컨셉 세 가지만 제안해 줄래?"
제미나이: (1. 은퇴 후 제2의 직업이 될 수 있는 취미, 2. 자녀와 함께 즐기는 취미, 3. 건강을 되찾는 아웃도어 취미 컨셉 제안)
2단계: 컨셉 선택 후 구체화 (카테고리 설정)
나: "좋아, 그중에 은퇴 후 제2의 직업이 될 수 있는 취미 컨셉으로 가자. 이 컨셉에 맞는 영상 카테고리 다섯 개를 만들어 줘."
제미나이: (1. 목공, 2. 수제 맥주, 3. 드론 촬영, 4. 가죽 공예, 5. 앱 개발 카테고리 제안)
3단계: 첫 실행 계획 수립 (영상 아이템 기획)
나: "목공 카테고리 좋네. 초보자가 30만 원으로 시작할 수 있는 나만의 원목 도마 만들기 영상 아이디어를 촬영 순서와 함께 제안해 줘."
어떤가요? 한 번에 모든 것을 요청하는 대신, 대화를 통해 제미나이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함께 결과물을 만들어나가고 있습니다. 당신은 프로젝트의 방향키를 쥔 선장이 되어 AI라는 유능한 항해사를 이끌고 있는 것입니다.
사업 계획 수립, 책 집필, 여행 계획, 프로그램 개발 등 복잡하고 거대한 목표가 있다면, 절대 한 번에 요청하지 마세요.

가장 중요한 첫 단계부터 차근차근, 제미나이와 함께 프로젝트를 완성해 나가는 즐거움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