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4일 토요일

1.4.2. 원칙 3 & 4: 점진적으로 수정하고, 복잡한 장면은 단계별로 요청하기

AI와 함께 그림을 완성하는 작업 방식

앞서 배운 두 가지 원칙이 프롬프트의 '내용'을 채우는 법에 관한 것이었다면, 지금부터 배울 두 가지 원칙은 AI와 '작업하는 방식'에 관한 것입니다.

나노 바나나를 단순한 자판기가 아닌, 함께 그림을 완성해나가는 파트너로 만드는 핵심적인 소통 기술입니다.

🔄 원칙 3: 점진적으로 수정하며 완성도를 높여라
첫 시도에 100% 완벽한 이미지를 얻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이때 많은 사용자들이 실망하고,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길고 복잡한 프롬프트를 계속해서 새로 작성하는 실수를 저지릅니다. 하지만 나노 바나나는 이전 대화의 맥락을 기억하는 뛰어난 능력이 있으므로, 이러한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더 현명한 방법은 AI와 대화를 이어가며 그림을 함께 완성해나가는 것입니다. 일단 기본적인 이미지를 생성한 후, 그 결과물을 보며 아쉬운 부분을 하나씩 수정해달라고 요청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마치 옆에 있는 아티스트에게 "좋은데, 이 부분만 조금 바꿔줄 수 있을까?"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 방법은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훨씬 정교한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1차 프롬프트
도서관에서 책을 읽고 있는 여성을 그려 줘.
• 2차 수정 프롬프트
방금 그린 그림은 그대로 두고, 여성이 쓰고 있는 안경만 동그란 금속테 안경으로 바꿔 줘.
• 3차 수정 프롬프트
좋아. 이제 창문으로 오후의 햇살이 부드럽게 들어오는 느낌을 추가해서 전체적으로 더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어 줘.
[점진적 수정 과정 예시 이미지]
1차 프롬프트

2차 프롬프트

3차 프롬프트

📋 원칙 4: 복잡한 장면은 단계별로 요청하라
만약 그리고자 하는 장면이 여러 인물과 사물, 복잡한 배경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 모든 요소를 하나의 긴 프롬프트에 담아 한 번에 요청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너무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처리하려고 하면 AI가 혼란스러워하며 특정 요소를 빠뜨리거나 엉뚱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마치 무대감독이 세트를 설치하듯, 차근차근 단계별로 장면을 만들어나가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배경과 같이 가장 큰 범위의 요소부터 요청하고, 그 위에 중심이 되는 사물,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물이나 작은 소품들을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각 요소가 올바른 위치와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여 훨씬 안정적이고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보장합니다.
• 1단계 (배경 설정)
중세 유럽의 활기찬 시장 광장을 그려 줘. 바닥은 돌로 포장되어 있고, 주변에는 목조 건물들이 있어.
• 2단계 (주요 구조물 배치)
이제 광장 중앙에 다채로운 과일을 파는 큰 상점 가판대를 하나 추가해 줘.
• 3단계 (인물 및 세부 묘사 추가)
마지막으로, 가판대 주변과 광장 곳곳에 물건을 구경하거나 대화하는 사람들을 추가해서 북적이는 느낌을 완성해 줘.
[단계별 구축 과정 예시 이미지]
1차 프롬프트

2차 프롬프트

3차 프롬프트

💡 두 가지 전략의 차이점
'점진적 수정'이 이미 만들어진 그림을 다듬는 '후반 작업'이라면, '단계별 요청'은 복잡한 그림을 처음부터 그려나가는 '기획 단계'의 전략입니다.
이 두 가지 원칙을 잘 활용한다면,
여러분은 AI를 훨씬 더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나노 바나나는 더 이상 명령을 받는 도구가 아닌,
함께 작품을 만들어가는 창작 파트너가 됩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