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 키워드 나열 방식의 문제점
미드저니 방식은 잊어라
나노 바나나를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첫 번째 원칙은 바로 '키워드를 나열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미드저니(Midjourney)와 같은 다른 AI 이미지 생성 도구에 익숙한 사용자라면, 프롬프트를 작성할 때 원하는 요소들을 쉼표로 구분하여 나열하는 방식에 매우 익숙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노인, 호수, 낚시, 안개, 새벽' (a man, sitting on a bench, in the park, at night, realistic style) 처럼 말입니다. 이 방식은 해당 도구들에서는 매우 효율적으로 작동합니다.
⚠️ 나노 바나나에서는 통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나노 바나나에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면, AI가 사용자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혼란스러워하거나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물을 내놓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는 마치 뛰어난 요리사에게 '소금, 밀가루, 계란, 설탕'이라는 재료 목록만 던져주고 알아서 근사한 케이크를 만들어내길 기대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 재료들로 쿠키가 될지, 빵이 될지, 아니면 이도 저도 아닌 무언가가 될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 키워드 나열 방식의 3가지 치명적 문제점
키워드 나열 방식이 나노 바나나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관계의 부재
키워드는 각각 독립된 '단어'일 뿐,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지 못합니다. '노인, 호수, 낚시, 의자' 라는 키워드만으로는 노인이 의자에 앉아 호수에서 낚시를 하는 것인지, 아니면 네 가지 요소가 그저 한 공간에 흩어져 있는 것인지 AI는 알 수 없습니다.
• 2. 행동의 부재
키워드는 '무엇'을 그릴지는 알려주지만,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지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고양이, 소파' 라는 키워드만으로는 고양이가 소파 위에서 잠을 자는지, 소파를 긁고 있는지, 아니면 소파 아래에 숨어있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 3. 분위기의 부재
'밤'이라는 키워드는 수많은 상황을 내포합니다. 로맨틱한 달밤일 수도, 화려한 네온사인의 도시의 밤일 수도, 혹은 으스스한 공포의 밤일 수도 있습니다. 키워드만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구체적인 감성이나 분위기를 전달할 수 없습니다.
💡 핵심 인사이트
키워드 나열 방식은 나노 바나나가 가진 가장 큰 장점, 즉 문장의 맥락과 뉘앙스를 이해하는 능력을 전혀 활용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이는 AI의 성능을 스스로 제약하는 것과 같으며,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와 불필요한 재시도만을 반복하게 할 뿐입니다.
키워드 나열은 미드저니 방식입니다.
나노 바나나는 문장으로 대화하는 AI입니다.
다음 절에서는 나노 바나나의 진짜 힘을 깨우는 '서술형 프롬프트' 작성법을 배워보겠습니다! 📝✨
나노 바나나는 문장으로 대화하는 AI입니다.
다음 절에서는 나노 바나나의 진짜 힘을 깨우는 '서술형 프롬프트' 작성법을 배워보겠습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